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보고의 정석 회사에서는 하루에도 수많은 보고가 이루어집니다. 보고는 윗상사와의 Communication 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보고의 정석에 대해 살펴 봅니다. 보고의 홍수 보고의 종류도 몇가지가 있습니다. 구두보고, 서면보고, On-Line 보고, Off-line 보고, 약식보고, 정식보고, 일정에 대한 보고, 일상적인 보고, 주요사안에 대한 보고 등이 있습니다. - 구두보고 : 말로 보고하는 것 - 서면보고 : 보고서 장표를 보여주면서 보고하는 것 - On-Line 보고 : 메일이나 전화( 일종의 구두보고)상으로 보고하는 것 - Off-Line 보고 : 얼굴을 마주보고 대면하면서 보고하는 것 - 일정에 대한 보고 : 오늘 오후에 XX 현장 출장 다녀오겠습니다. - 일상적인 보고 :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2020. 2. 7.
회사의 고령화 ? 인간의 수명이 점점 더 장기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요즘 60이면 정말 장년 취급을 받는것 같습니다. 노인은 절대 아니죠. 일본보다도 빨리 고령화 사회가 되어 가고 있고, 저출산으로 인해 2019년 11월부터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되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이런 변화가 회자되고 정부에서도 정년을 더 늘려야 되지 않느냐는 얘기가 간간히 흘러나옵니다만, 정반대로 가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여기는..... 50만 되도 장수했다는 측에 속합니다. 지금 현재의 나이로만 보면, 30에 신입사원으로 들어와서 잘해야 20년 근무하고 그 20년 벌은 것으로 결혼하고, 자식 낳고 키우고, 집사고, 차 사고, 여가생활도 간간히 하면서, 노후 대비도 해서... 남은 인생 30년 이상을 버텨야 하는 것이죠. 참말로 제가 생각해도.. 2020. 2. 6.
다이어리, 달력의 변천사 연말, 연초가되면 직장인들의 책상위엔 새해 다이어리와 달력이 놓입니다. 과거에는 다이어리와 데스크달력(책상위에 두는 조그만 달력)이 수북히 쌓였습니다. 회사별로 다양한 디자인과 재질의 다이어리와 달력이 넘쳐 났죠. 기업을 홍보하는 역할도 있어서 영업지에 원하는 만큼 돌릴수 있었죠. 입맛대로 골라 사용하고 남는건 집에도 가져가고, 쌓아두다 쓰레기통으로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불과 몇년 사이에 이런 얘기가 옛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언제부터인가 기업들의 비용절감이 화두가 되면서 과도한 수량의 다이어리와 달력 제작을 자제하기 시작했죠. 처음엔 수량이 줄어들고, 그 다음엔 재질이 떨어지고, 그 다음엔 데스크달력은 아예 제작조차도 안하게 되어버렸습니다. (일부 아직도 제작하는 회사가 있긴 합니다. 거긴 좋은회사입니다.. 2020. 1. 22.
회식의 활용 회사에서는 회식이 많습니다. 새로운 직원이 합류하게 되면 환영회, 딴 팀으로 가게 되면 환송회, 팀장이 주관하는 회식, 부서장이 주관하는 회식, 임원이 주관하는 회식, 연말이면 팀 송년회, 부서 송년회, 동아리 송년회, 고등학교 친구 송년회.... 등등 요즘 세대들의 취향에 맞게 회식 문화가 많이 바뀌고 있고, 참석도 자유롭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회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무실을 떠나 새로운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기분도 전환되고, 마음도 조금 더 열립니다. 술이라는 기운을 조금 보태게 되면, 마음 속에 담아두고 있던 얘기가 툭 튀어나오기도 하고 상대가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게 되기도 합니다.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거나, 길거리에 주저앉아 하소연을 하거나... 무.. 2020. 1. 22.
매년 경영위기라고 합니다. 정말일까요 ? 직장에서 연초에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무엇일까요 ? '올해는 정말 위기다'라는 말인 것 같습니다. 최근 10년간 안들어본 해가 없습니다. 세계경기가 어떻고, 국내 경기가 어떻고, 금리가 어떻고, 부동산 경기가..... 그래서 우리 사업의 미래가 밝지 않다. 올해가 위기다. 경각심을 키워라..... 임원들은 항상 이렇게 경영위기를 강조합니다. 정말 경영위기 일까요 ? 양치기 소년도 아니고 10년 넘게 매년 이런 소리를 듣다보니 이젠 무뎌집니다. 직원들 사이에서도 "정말 위기 맞어 ? 이때까지 한번도 영업이익이 마이너스 난 적도 없잖어 ? 직원들 부려 먹을려고 하는 소리지 " 라는 생각이 더 지배적입니다. 경영위기란 언제일까요 ? 이러다 정말, 진짜로, 경영위기가 닥치면 ? 전직원이 한마음으로 결집된 힘을 .. 2020. 1. 22.
집중근무시간제의 장, 단점 집중근무시간제라는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근무시간 중 일정시간을 정하여 그 시간 동안에는 가급적 전화도 하지말고, 회의도 하지말고, 자리이동도 하지말고, 본연의 업무에만 집중하라는 취지입니다. 취지가 아무리 좋아도 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욕을 먹게 되어 있습니다. 이 제도는 혼자서 하는 일, 혼자서 기획하고 연구하고 대안을 찾고.... 혼자서 하는 일은 적합합니다. 전화나 회의 같은 방해를 받지 않고 집중해서 일을 처리할 수 있죠. 그 외 다른 업무는 어떨까요 ? 영업직원입니다. 자신이 쓴 비용 처리를 오늘까지 해야 합니다. 하다 보니 오류가 나고, 어디에서 틀린건지 알수가 없습니다. 회계팀에 전화해서 물어보고 싶은데 집중근무시간이라 전화를 할 수가 없습니다. 연락해봐야 집중근무시간 이후에 연락하라고 .. 2020.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