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 기업 신년사, 이렇게 이루어집니다. 회사에서는 새해가 되면 신년사를 발표합니다. 그룹 같은 경우 회장님의 신년사 + 각 회사의 CEO 신년사 이렇게 두개가 됩니다. 이 신년사의 내용에 무엇이 담기느냐 하면 올 한해는 이런 방향으로 이러이러한 생각으로 회사를 이끌겠다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게 겉만 보면 매우 중요하고 의미있을 것처럼 보입니다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신년사를 회장님이나 CEO가 직접 쓸것이라고 생각하는건 아니죠 ? 일반적으로 회사의 기획을 담당하는 팀에서 글좀 쓰는 직원이 신년사를 작성합니다. 이 글을 팀장이 검토하고 수정하고, 임원이 검토하고 수정하고.... 이런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신년사가 "오케이" 되면 공표가 됩니다. 사공이 여러명이다 보니, 공표하는 내용도 많아집니다. 첫째.... 둘째.. 2020. 1. 14. 경영계획의 진실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연말이면 내년도 경영계획 (혹은 사업계획)을 수립합니다. 올 한해를 돌아보며 잘한점이 무엇이고 못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내년도 사업환경은 어떻게 변화될 것 같고, 고객들의 Needs는 어떻게 될것이고... 그래서 우리 사업의 방향은 이렇게 나아갈 것이고... 그에 따라 매출과 이익은 이정도 될것이다 라고... 쉽게 말해서 내년도의 매출과 이익 목표를 확정하는 작업이 경영계획입니다. 여기에도 수많은 이해관계로 인해 작용/반작용, 밀고 당기기, 뒤통수치기가 만연합니다. 회사의 권한 관계는 단순하게 보면 오너 > CEO > 임원 > 팀장 순으로 되어 있죠. 문제는 오너를 제외한 이들이 모두 월급쟁이라는 것입니다. 내년도 상황이 올해 실적보다 떨어질게 거의 100% 명확한 상황일지라도 .. 2020. 1. 13. 업무처리, 운영의 묘가 필요합니다 . 업무를 하다보면,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극과 극의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회사의 규정이나 지침은 포괄적으로 두리뭉실하게 되어 있죠. 그때의 상황에 맞게 운영의 묘를 살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시스템에서 필수정보를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언제 누가 이 정보를 필수정보로 지정했는지는 모르지만, 현재는 쓸모없는 정보라는 것을 누구나 다 알고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입력된 정보가 사실과 맞지 않다고 검토자가 딴지를 걸기 시작하면 어떻게 될까요 ? 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입력자는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사실을 확인해야하고 확인자는 확인하는데 시간을 또 투자해야 합니다. 이 일을 바로 잡을려면 필요없는 필수정보를 해제시켜야 합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해결.. 2020. 1. 12. 조직의 권력 직장인들은 매년 연말이면 술렁이게 마련입니다. 바로 임원인사와 조직개편, 그에 따른 인사발령이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방식은 회사마다 천차만별이죠. 당사자와 사전에 협의와 조율을 거치는 회사도 있고, 어느날 갑자기 빵 터트리는 회사도 있습니다. 또 임원이 바뀌면서 그 성향에 따라 바뀌기도 합니다. 수개월여 전에 외부에서 임원을 영입했습니다. 그 양반이 실세라는 소문이 나돌기 시작하더니 올해 조직개편은 그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것 같습니다. 정상적인 직장인이라면 차장이나 부장 정도의 나이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2인자로 권력을 잡게 되었고, 젊어서 그런지 많은 팀장이 젊은 층으로 바뀌고 팀이 합쳐지고, 신생팀이 생겼습니다. 경험상, 이런 권력은 사상누각이 되기 싶상입니다. 외부에서 스카웃되서 왔던 수많은.. 2020. 1. 12. 승진의 아이러니 직장에 오래 있다보니 능력을 인정받고 승진이 빨리 된다고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알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그 반대의 상황이 오더군요.나이가 같은 A 라는 직원과, B 라는 직원이 있었습니다. A 직원은 능력도 뛰어나고 업무 추진력도 탁월하여 남들보다 빨리 부장이 되고 팀장이 되었습니다. B 직원은 누가봐도 저성과자에 해당되고 주위 사람들과 어울리지도 못하고 운 좋게 차장은 되었으나그 이상은 무리, 10년째 만년 차장으로 있습니다. 그 회사에 변화가 찾아옵니다.다른 회사와 합병이 되고, 그 다음해 임원은 면직이 되고 팀장들은 보직해임이 됩니다. 그 다음 수순이 뭘까요 ? 예.. 그겁니다. 구조조정 얘기가 솔솔 나오기 시작합니다. 대상이 부장급입니다. 부장 직급의 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부장급만 대상으로.. 2020. 1. 12. 이전 1 2 3 4 다음